베토벤 사망 이유라는 '이 질환'… 국민 3%도 앓고 있어

베토벤 사망 이유라는 '이 질환'… 국민 3%도 앓고 있어

시애틀조아 0 48

0c6a437ea8573e6c206ae0bc09369be8_1679756251_8446.jpg 

베토벤 사망 이유라는 '이 질환'… 국민 3%도 앓고 있어 © 제공: 헬스조선

납중독으로 사망한 줄만 알았던 베토벤이 진짜 사인은 'B형 간염'이었던 것으로 드러났다. B형 간염은 국내 간암 환자 60~70% 주요 원인일 정도로 방치하면 치명적인 질환인데, 아직 우리나라 국민 약 2.5~3%가 B형 간염을 앓고 있을 정도로 유병률이 높다.

◇베토벤 사인, '간' 때문이야

베토벤이 사망한 날, 곁에 있던 페르디난드 힐러는 베토벤의 머리카락을 잘라 보관했다. 최근 독일 막스플랑크 진회인류학연구소와 영국 케임브리지대 등 공동연구팀이 이 머리카락을 분석해 사인을 확인했다. 분석 결과, 베토벤은 B형 간염 바이러스 유전자와 간 질환에 취약한 PNPLA3 변이 유전자를 보유한 것으로 확인됐다. 연구팀은 "이번에 확인한 변이 유전자로 유추했을 때 B형 간염 감염과 유전적 간 질환, 지속적인 음주로 인한 간경화로 숨졌을 가능성이 크다"고 말했다.

한편, 1999년 처음 베토벤 머리카락 DNA 분석 결과라며 보고된 바 있다. 당시 정상인 100배에 이르는 납 검출이 확인돼, 베토벤 사인은 납중독으로 알려졌다. 그러나 이번 연구를 진행한 연구팀은 "당시 분석된 머리카락 다발을 다시 확인해본 결과 유대인 여성의 것으로 확인됐다며, 베토벤 머리카락이 아니었다"고 했다.

◇국민, 100명 중 3명 앓고 있어…

B형 간염은 아직 정복되지 않았다. 백신이 상용화되기 전보단 유병률이 줄긴 했지만, 아직 국내  B형간염 바이러스 감염률은 2.5~3%대로 유지되고 있다. 백신이 나오기 전에는 8~10%였다. B형간염은 전격성 간부전, 간경화, 간암 등 중증질환으로 진행되는 핵심 경로이므로 반드시 이른 발견과 관리가 필요하다.

B형간염은 급성간염과 만성간염으로 나뉘는데, 급성 B형간염​은 6개월 내에 회복되지만 만성 B형간염​은 6개월 이상 지속되고 만성 염증을 유발한다. 만성 B형간염은 대부분 명확한 증상이 없이 조용히 진행돼 증상만으로는 진단할 수 없다. 혈액검사로 B형간염 표면 항원 양성 여부를 확인해야 한다. 보유자라면 정기 검진을 하며 경과를 관찰하다가, 간 수치가 상승하거나 활동성 B형간염이 확인됐을 때 조기에 적극적으로 항바이러스 치료를 시작해야 한다. 아직 B형간염 바이러스 감염증을 완전히 없앨 수 있는 치료제는 없지만, 일반적으로 과거 치료 경험이 없는 만성 B형간염 환자는 ▲엔테카비어 ▲테노포비어 ▲베시포비어 등 경구용 항바이러스제를 이용해 치료를 시작한다.

한편, B형간염 바이러스는 주로 혈액이나 체액을 통해 전염되므로 다른 사람과 손톱깎이, 면도기 등은 함께 쓰지 않는 것이 안전하다. 이 외에도 감염된 사람과의 성적 접촉, 주사기 바늘 공동 사용 등을 통해 감염될 수 있다.

0 Comments
시애틀조아 최신글